Tuesday, August 30, 2016

샤프트(shaft) - 셀프 피팅 경험기

제 주변 골프를 같이 하는 지인들도 여전히 엔진이라고 믿고, 샤프트에 대해서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계신데, 일일이 말씀드리기도 힘들더군요.

- After-market 샤프트에 빠져있던 시기

엔진이라는 중요한 부품과 비유되었기에, 샤프트를 더 비싼 것을 쓰면, 비거리도 더 잘나오고, 일관성도 더 높아질 것으로 믿었습니다.  한참 장비에 관심이 있었던 때였기에, 드라이버에 장착하는 After-market 제품들을 계속 사고, 팔았습니다.  알딜라, 후지쿠라, 매트릭스, 그라파이트 디자인, 유에스티 등등 다양한 스펙의 제품들을 근 2년에 걸쳐서 계속 써봤었습니다.  특히, 드라이버에 기본 장착된 stock shaft 는 저품질의 제품이라고 주장하는 몇몇 유튜브 비디오들로 인해, 더더욱 샤프트를 바꿔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새로 써보는 샤프트들은 처음 몇 라운드에서 만족할만한 성능을 보일 때가 많았지만, 그 시기가 지나면 별 차이를 못 느끼거나,  몸이 고단한 적도 많았구요.

- 값싼 샤프트 피팅을 받다

제가 있는 곳에서, 제대로 된 피팅을 받으려면 비용을 꽤 지불해야 합니다.  계속 혼자 샤프트를 바꾸다가, 한번 피팅을 받아 봐야겠다고 했는데, 아주 싼 곳에 가서 피팅을 받았지요.  별로 의욕이 없는 PGA Pro 라는 사람이, 시뮬레이터 앞에서 드라이버를 쳐보라고 하더군요.  샤프트의 특성에 대해서는 전혀 토론되는 것이 없고, 샤프트 당 5번씩 쳐보라고 하고는, 그 중 거리가 1야드라도 더 나온 샤프트가 맞는 것이라고, 그걸 주문해서 사라고 하더군요.  

- 비싸다고 더 좋은 샤프트가 아니다

한국의 무슨 방송을 보고 있는데, 화면에 비춰지는 드라이버의 샤프트가 죄다 GD Tour AD 인 것을 보고 깜짝 놀랐던 적이 있었습니다.  네이버 모 골프 동호회에 잠시 회원이었던 적이 있는데, 거기 있는 회원 분들이 GD에서 나온 Tour AD 시리즈, 신제품 모델을 줄줄 외우고 있고,  새 것이 나오면 그걸로 즉각 교체하는 모습을 보고도 놀랐구요.  미국에서는 Graphite Design 회사가 철수한 적이 오래되었지요.  지금은 수입상만 있을 뿐이구요.  제가 골프장에서 Tour AD를 장착한 드라이버를 딱 한 번 보았습니다.  정말 더 좋아서 그런가 하고, 저도 300불이 넘는, 그것도 중고인 Tour AD DI 인가 DJ를 산 적이 있었지요.  처음에는 왠지 괜찮아 보였습니다.  투어 선수들이 쓴다고도 하고.  하지만, 성능에서의 차이를 못 느끼고, 오히려 ball flight이 마음에 들지 않아, 팔아 버렸습니다.

- Tom Wishon의 글을 읽다

샤프트 문제로 돈이며,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가, 유명 fitter 인 Tom Wishon의 글들을 읽게 되었습니다.  샤프트가 트랜스미션이라는 말을 이 아저씨도 했지요.  그리고, 실측 데이터를 이용해, 비싼 샤프트와 싼 샤프트의 성능 비교를 보여준 글들도 읽게 되었구요.  샤프트의 특성과 골퍼의 스윙이 매칭되는가의 문제이지, 한 두 가지 단순한 요소, 즉 가격, 무게, flex 등으로만 선택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돌고 돌아서, 지금은 저에게 맞는 샤프트를 찾았습니다.  드라이버와 우드, 하이브리드도 이 샤프트로 다 맞췄구요.  (저의 영혼의 파트너인 샤프트는 나온지 꽤 된 샤프트라서, 시장 가격도 굉장히 낮아서 좋습니다.)  샤프트가 스윙에, 몸에 맞다는 것을 느끼는 것이, 스윙할 때, 샤프트의 존재를 잊어 버린다는 것입니다.  마치 운전을 할 때, 부드러운 트랜스미션이 동작하면,  그 부품에 대해서 신경이 쓰여지지 않는 것처럼말이지요.  몸에 맞지 않는 샤프트를 쓸 때는, 버겁다, 혹은 너무 가볍게 날린다 등등 샤프트의 동작 특성에 대해서 계속 신경이 가더군요.  지금은 스윙과 헤드 움직임에만 집중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 아이언은 무조건 경량 샤프트 라구요?

샤프트는 무조건 경량이 좋다는 이상한 믿음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제 주변에 있는 형님들께서는 요즘 DG 샤프트를 NS Pro 경량 샤프트로 바꿔야 한다고 난리입니다. 90g 대를 써야 몸에 무리도 없고, 120g 이면 무거워서 못 쓴다고 말씀들 하시네요.  위에서 말씀드린 바처럼 무게, 플렉스 등 한 두 요소만 가지고, 샤프트를 판단해서는 안됩니다.  근처 fitter 에 가서, 피팅 받아 보시라고 하여도,  계속 경량 타령만 하시네요. 

저는 지난 달까지 쓰던 아이언의 샤프트가 110g 이었습니다만, 팔아 치우고, 120g 대 샤프트가 있는 아이언으로 다시 돌아갔지요.  아이언 헤드 때문인지, 샤프트 때문인지 알 수 없지만, 아이언 정확도가 높아져서 버디 기회가 많아졌습니다.

Monday, August 15, 2016

[Andrew Rice] Control the Clubface to Start Striping the Ball

일부 골프 교습가가 말하는 법칙(rules, laws, secrets, ...)들은 대부분 자신들이 그냥 만든거다. 과학적으로 증명된, 몇 안되는 법칙들 중 필수적으로 골퍼가 알아야 할 것이, ball flight law 이고, 그 법칙에 따르면, club face가 swing path 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 그러니, club face를 골퍼 의도대로 (대부분의 경우, target line에 square되게)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하고, 그러한 club face control 하는 동작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교습가의 능력이다. 그런 능력이 없는 이들이 맨날 쓸데없는 동작 (특히 셋업, 스윙 궤도)에만 매달리고 있고, 교습 대상자에게 강요하고 있다. 그러니, 교습 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교습생들은, 교습가 앞에서는... 예...예... 하다가 아무런 발전이 없으니, 결국은 다시는 그 교습가를 찾지 않게 된다.

https://youtu.be/h0Ax56IrGgk

Friday, August 12, 2016

[Book] The Elements of Scoring (Ray Floyd)

List of the top 10 things amateurs do wrong that pros hardly ever do wrong:

1) Underclubbing
2) Swinging too hard
3) Automatically shooting at every flag
4) Not playing away from trouble
5) Missing the green on the wrong side of the flag
6) Trying for too much out of trouble
7) Trying shots you have never practiced
8) Panicking in the sand
9) Misreading turf and lie situations
10) Consistently under-reading the break on greens

https://thesandtrap.com/forums/topic/44538-the-elements-of-scoring-by-ray-floyd/